| 시장조사의 필요성
프로덕트 전략 수립 시 시장 조사는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진입하려는 산업의 전체 시장 규모, 대표 고객층, 시장의 트렌드, 경쟁사 파악 및 경쟁사의 시장 점유율 등을 파악하여 전략 수립에 있어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어야한다. 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단순한 조사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필요한 데이터로 가공을 하여 '성공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실제로 적용해보기 위해 어제 분석한 클래스101의 사례를 들어 인사이트를 찾아보겠다.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 프로덕트 전략
전략 사활이 걸린 전장에서 뛰어난 장수, 병사의 수 보다 중요한 단 하나의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전략'이다. 전쟁 또는 전투에서 어떻게 병사를 운용할 것인지, 주변의 환경은 어떻게 이용
donampbd.tistory.com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시장 규모
2021년 산업통상자원부의 발표에 따르면,
국내 이러닝 산업('20년)은 1,905개 업체가 31,747명을 고용하고, 4.6조원 시장(매출액 기준)규모의 대표적 비대면 산업으로, '20년 전체 매출은 전년대비 17.2% 증가(기존4% 성장수준)하고, 고용도 12.5% 증가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시현하고 있다. (출처ㅣ산업통산자원부)
위 결과는 이러닝 산업 전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클래스101처럼 성인교육 또는 취미교육이라는 좁은 카테고리에서 지표는 확인할 수 없지만, 산업군 전체의 규모와 흐름을 읽을 수 있다. 이러닝, 즉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규모와 고용도 모두 성장하였고,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비대면 학습의 기회가 늘어난 것 뿐 아니라 자아실현 욕구의 증가 등 다양한 이유로 해석할 수 있다.
취미 교육과 이커머스의 만남
클래스101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새롭게 진출 가능한 시장을 찾다 그들이 이미 진출해있는 새로운 시장을 발견했다. 바로 이커머스 시장으로 '클래스101 스토어'라는 카테고리로 다양한 제품들을 판매하고 있다.
클래스101이 가지고 있는 강점이자 그들이 다른 플랫폼과 차별화되는 것은 바로 '준비물 키트' 제공이다. 이를 발전시켜 취미, 창작활동에 필요한 부가적인 재료와 도구들을 이커머스의 형태로 판매한다. 클래스의 형태에 따라 제품군은 정말 다양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업의 규모는 나날이 확장될 것이다. 또한 클래스101에서 활동하는 크리에이터의 수업을 전자책 형태로 제작하여 판매하기도 한다. 요리의 레시피, 뜨개질 도안, 전자 플래너 어플 속지 등등 정말 다양한 제품들을 판매하고 있다.
클래스101은 이에 그치지 않고, 21년 4월 클래스101의 자회사이자 DIY 취미 키트 쇼핑 플랫폼인 '하비인더박스'를 흡수합병했다. 드로잉북에서 시작하여 피규어 제작, 디퓨저 제작 등에 이르는 다채로운 상품들을 판매하는 하비인더박스는 20년 기존 대비 500% 가량의 놀라운 성장을 보여주며 취미 키트 판매 시장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잠재 고객군
클래스101 스토어의 가장 큰 잠재고객군은 클래스101의 수강생들이다. 관심있는 분야 또는 크리에이터의 수업을 수강 후 만족한 수강생들은 이에 그치지 않고, 취미 생활을 이어간다. 이 때 가장 쉽고 편리하게 본인이 원하는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곳이 클래스101의 스토어이다.
클래스101의 수강생들의 범위는 나날이 확대되고 있다. 20년 9월에는 기존 B2C 형태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B2B 형태로 확장시켰다. 비대면 기업 복지-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래스101 비즈니스'이다.
마찬가지로 20년 9월에 어린이들을 타켓으로 한 '클래스101키즈' 카테고리를 추가했다. '엄마표 경제지식', '영어공부 이렇게 시키셔야합니다', '인문학독서클럽' 등 다양한 분야의 학습에 초점을 두어 어린이 고객들을 유치하기 노력 중이다. 실제로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팬데믹 사태 이후 키즈-교육용 카테고리의 하루 평균이용량 증가율은 60%에 달하며 전체 콘텐츠 카테고리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이러한 긍정적인 지표를 활용하여 스토어 내 카테고리도 확장시킬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취미 활동의 특성인 '쉽고 가볍다'과 온라인 교육의 특성인 '언제 어디서나'를 동시에 적용시켰을 때 클래스 101스토어의 잠재고객군, 즉 클래스101의 잠재 고객군은 정확한 산정이 어렵다.
수요 파악 채널
클래스 수강생들을 통한 정기적인 수요조사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와 같은 SNS 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더 많은 고객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창출된다.
또는 앞서 언급하였던 클래스101과 유사한 성격을 가진 원더월, 탈잉과 같은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해서도 수요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무료(?) 교육 플랫폼으로서 기능하는 유튜브의 각 취미 카테고리에서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전날 학습한 것을 토대로 '클래스101'이라는 프로덕트를 선정하여 분석을 해보았는데, 토론 세션에서 해당 프로덕트에 대해 설명을 하며 부족한 점을 많이 느꼈다. 나름 많은 생각을 하고 자료를 찾아보았다고 생각했지만 조금만 더 생각하고, 조금만 더 조사했어도 과제의 퀄리티가 개선될 수 있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의 과제 또한 탐구 목적에 부합하려면 정량적인 데이터와 시장 분석의 근거가 필요해보이지만, 프로덕트 매니저로써 해야할 일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사실을 챙겨가야겠다. 이후 성장하는 과정에서 보완해야할 과제 1순위다.
참고자료
클래스101 스토어 | https://class101.net/store
이러닝, 비대면 교육, 산업 수요 가속화에 적극 대응한다. |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88859
클래스101, 기업전용 '클래스101 비즈니스' 런칭 |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09/933226/
클래스101, '키즈 콘텐츠' 공략 통했다 | https://www.asiae.co.kr/article/2022022311521883706
클래스101, 자회사 하비인더박스 흡수합병 | https://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70959
[스타트업 BM 분석] 취미플랫폼 4곳 BM분석- 최초,클래스101이 아닙니다 | https://www.mobiinside.co.kr/2020/12/24/hobby-platform/
'📝 PM >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스테이츠 PMB 11 | TMAP 대중교통을 통해 얻는 것 (0) | 2022.03.22 |
---|---|
코드스테이츠 PMB 11 | fruitsfamily 의 Persona (0) | 2022.03.21 |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 프로덕트 전략 (0) | 2022.03.16 |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 Product Development Life Cycle (0) | 2022.03.15 |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 PM이란 무엇인가? (0) | 2022.03.14 |